위례산 지명관련 자료 URL을 "http://e-kyujanggak.snu.ac.kr/COM/COM_FINDMANY.jsp?"복사해서 붙이면........... 위례산 관련 자료를... 1) 목천현은 지금의 충남 천안시 목천면, 북면, 병천면, 동면, 수신면, 성남면 일대에 해당한다. 읍치는 목천면 서리 일원에 있었다. 목천은 금북정맥의 사면에 위치한 고을로 동쪽은 청주, 서쪽은 천안, 북쪽.. 위례성설 2010.02.24
비류백제와 위례성의 우물 (펌) 제목 : 비류백제와 위례성의 우물 <비류백제-위례성의 우물> - 충청도의 전설이 뒷받침하는 삼한백제설의 정확성 어느 나라건 그 나라를 세운 사람 - 그러니까 건국 시조 - 은 한 명이다. 예를 들어 고구려를 세운 사람은 추모왕(동명성왕)이고 서나벌을 세운 박씨족의 시조는 박혁거세이며 석씨족.. 위례성설 2010.01.16
백제의 첫 서울은 직산 지방이다 * 백제의 첫 서울은 직산 지방이다 (오세창저)의 원본임 - 호당 산신제 축문은 보관하고 있던 필사본(한문)대로 수정 하였음. 백제(百濟)의_첫_서울은_직산지방이다-오세.zip 위례성설 2009.09.19
위례산의 전설 위례산의 전설 입장면 호당리에는 백제군이 고구려군에게 패하고 울었다는 위례산이 있다. 위례산 둘레에는 지금도 옛날을 말해주는듯이 백제의 성터가 남아 있다. 한편 위례산정에는 용이 놀았다는 용샘이 있는데 이 용샘은 공주까지 뚫려 있다는 이야기도 전해오고 있고 서해까지 이어졌다고도 전.. 위례성설 2009.06.21
위례산성이 백제 초기수도인 근거(펌) 1. 온조가 고구려에서 피난온 상태이기 때문에 평지에 근거지를 만들기는 불안했을 것이다. 통상적으로 비적들이나 산적무리들이 산속험한곳에 근거지를 두는것과 같이 당시에는 힘이 약한 온조세력이 최소한 자신들의 안위를 유지하기위해서는 범접하기 힘든 산성이 필수적이었을 것이다. 그렇다.. 위례성설 2009.05.10
직산 위례성설 ※ 유물 유적에 대한 분석 ① 와당(瓦當 : 기와) 대체로 몽촌토성이나 석촌동 고분지역에서의 출토품과 흡사하다. 고려 이전의 와당이 지니고 있는 특징과 같이 기와의 내면에 마포문(麻布紋)이 새겨져 있고 색깔이 황토색이며 다른 기와에 비하여 매우 얇다.(일반적인 기와 두께의 1/3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표면은 파문(波紋)이 세로로 여러 개 있어서 빗물이 흘러내리기에 알맞게 만들어졌다. 이와 같이 백제 초기 와당은 지표부분에서부터 출토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본토성은 백제초기에 쌓여진 성임을 확인할 수 있다 . ② 철겸(鐵鎌 : 쇠낫) 토성의 아토 층에서 출토되었다. 쇠 낫은 수확용이라고 보기보다는 전쟁의 무기로 이용되었으리라고 본다. 토성 내에서 농사를 지었을 까닭이 없는 것으로 보아 긴 자루에 낫을 꽂아.. 위례성설 2009.03.28